반응형
git을 설치하고 터미널을 사용하기 위해 리눅스 명령어도 연습을 하였습니다.
지금부터 Git을 사용하겠습니다.
Git을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소를 만들겠습니다.
Git 초기화하기
저는 GitTest 디렉토리(폴더)에 깃 저장소를 만들겠습니다.
현재 GitTest 디렉토리에는 test.txt 텍스트 파일만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git init 명령어를 사용하여 git을 초기화했습니다.
※init은 lnitialize(초기화하다)의 약자입니다.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 문구와 해당 디렉토리 경로에 .git 디렉토리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ls -al 명령어를 통해서 디렉토리안의 내용을 확인해보았습니다.
.git 디렉토리가 생겨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GitTest 폴더를 확인해봐도 .git 폴더가 숨긴파일로 생성이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반응형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Git (깃) git log , git diff (4) | 2021.01.07 |
---|---|
#5 Git 버전 생성 (1) | 2021.01.06 |
#3 Git 사용 전에 리눅스 명령어 연습 (2) | 2021.01.04 |
#2 Git 설치하기 (3) | 2020.12.30 |
#1 Git(깃)(Do it! 지옥에서 온 문서관리자 깃&깃허브 입문!) (0) | 2020.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