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Stack(스택), Queue(큐) 자료구조 [이코테 - 나동빈]
DFS(깊이 우선 탐색), BFS(너비 우선 탐색) 알고리즘에 대하여 알기 전에 먼저 알아두어야 할 자료구조가 있다. 오늘의 주제인 Stack(스택), Queue(큐)이다. 두 주제를 알기전에 간단한 용어에 대하여 정리하자. - Push(삽입) : 자료구조에 데이터를 삽입한다. - Pop(삭제) : 자료구조에서 데이터를 삭제한다. - Overflow(오버플로) : 스택, 큐와 같은 자료구조가 수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가 이미 가득찬 상태에서 삽입하려 할 때 발생한다. - Underflow(언더플로) : Overflow와 반대로 데이터가 전혀 들어있지 않은데 데이터를 삭제하려 하려 할때 발생한다. Stack(스택) Stack은 그림과 같이 위에서 부터 차곡차곡 쌓아 놓는 형태 이다. 그래서 아래에 있는..
numpy 배열 생성하기
Numpy 배열을 생성하기 위하여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Numpy를 사용하기 위하여 import 하는것이다. import numpy as np list1 = [1,2,3] array1 = np.array(list1) #array1 = np.array([1,2,3]) 파이썬 리스트로 객체를 전달 혹은 생성하여 np.array()함수에 인자로 넣어주면 된다. print("array1 타입 : ", type(array1)) print("array1 타입 형태 : ", array1.shape) print("array1 : ", array1) array1 타입 : array1 타입 형태 : (3,) array1 : [1 2 3] array1.shape 를 하게 되면 ndarray의 크기를 알 수 있다. pr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