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 Git(깃) git revert(삭제하지 않고 커밋 되돌리기)
저번 포스팅에서는 git reset 명령어를 사용하여 커밋을 삭제하고 되돌아가는 방법을 포스팅하였습니다. git revert는 git reset 명령어와 다르게 커밋을 삭제하지 않고 되돌아가는 방법입니다. git revert 1. reverTest.txt 파일을 만들고 "revert test 1" 입력 후에 저장하였습니다. 2. revertTest.txt 파일을 "revert test 1" 커밋메시지와 함께 commit하였습니다. 1. revertTest.txt 파일에 "revert test 2" 추가하고 저장하였습니다. 2. revertTest.txt 파일을 "revert test 2" 커밋메시지와 함께 commit하였습니다.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revert test 5" 까지 만들었습니다. git..

#10 Git(깃) git reset(커밋 되돌리기)
저번 포스팅에서는 커밋하기전의 내용을 되돌리는 방법에 관하여 이야기하였습니다. 이번에는 최신 커밋을 되돌리기, 특정 커밋으로 되돌리는 방법에 관하여 포스팅하겠습니다. 최신 커밋 되돌리기 test.txt 파일에 "ver4" 를 추가하고 "ver4" 커밋메시지와 커밋하여 버전을 생성하였습니다. git log 명령어를 사용하여 기록을 확인해보았습니다. "ver4" 커밋메시지와 최신버전이 생성이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git reset HEAD^ 명령어를 사용하였습니다. ※ ^(shift + 6) git reset HEAD^ 명령어는 최신 커밋을 스테이징을 하기 전 상태로 되돌아가는 명령어 입니다. Unstaged changes after reset: 메시지의 의미는 커밋이 취소되고 스테이지에서 내려갔..

#9 Git(깃) git restore(작업 되돌리기)
우리는 작업을 하다 보면 저장한 내용을 저장하기 전으로 돌아가거나, 이전의 버전으로 돌아가야하는 경우들이 존재합니다. 이때 git은 기록들이 남아있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들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저장한 내용 되돌리기 작업을 하다보면 수정,저장한 내용을 되돌려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그림을 준비하였습니다. 내가 작성한 문서파일에 그림처럼 많은 내용 들어있고, 수정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왼쪽의 그림(test.txt)를 수정, 저장하여 오른쪽 그림(test.txt)를 만들었을때 다시 왼쪽의 그림(test.txt)로 돌아가려면 굉장히 힘이 들 것입니다. 깃에서 git restore 명령어를 입력하면 쉽게 돌아갈 수 있습니다. test.txt 문서 파일을 "수정하였습니다" 내용으로 변경하고 ..

#8 Git(깃) 커밋메시지 수정하기
문서의 수정 내용을 기록한 커밋 메시지를 잘못 입력했을때 커밋 메시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먼저 test.txt 파일을 열고 ver3를 추가하고 저장하였습니다. git commit -am "ver3" 를 입력하고 commit 하였습니다. 바로 수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git commit --amend 입력하고 enter를 칩니다. --amend 옵션을 사용하면 바로 커밋메시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vim으로 커밋 메시지를 수정할 수 있도록 창이 나오는데 이때 커밋메시지를 수정하면 됩니다. 저는 ver3 -> ver3 입니다. 으로 커밋메시지를 수정하였습니다. 커밋메시지를 수정한 후에 esc를 눌러 ex모드로 돌아오고 :wq 저장하고 종료합니다. 커밋 메시지가 수정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감사..

#7 Git(깃) tracked, untracked file
디렉토리에 새로운 파일을 추가하고 git status 명령어를 입력하면 untracked 메시지가 등장합니다. 반면에 기존에 깃에서 버전관리를 했던 파일은 그렇지 않습니다. 이유는 깃에서 추적을 하고 있는가, 없는가의 차이입니다. Tracked 파일, Untracked 파일 디렉토리에 hello.txt 문서를 만들고 hello1을 입력한 후에 저장하였습니다. 현재 디렉토리에는 test.txt와 hello.txt가 있습니다. git status로 현재 상태를 확인해보았습니다. 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 메시지는 변경된 파일이 아직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Untracked files : 메시지는 깃에서 추적하지 못하는 파일이라는 의미입니다. test.txt 파..

#6 Git (깃) git log , git diff
commit 하여 버전을 만들었다면 어떤 버전을 만들었는지, 버전마다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git 명령어에는 버전 관리를 위하여 기록을 살펴볼 수 있는 git log 명령어와 변경 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git diff 명령어가 있습니다. git log git log 명령어를 입력하였을 때 나오는 화면을 살펴보겠습니다. git log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나오는 정보들을 커밋 로그라고 합니다. commit이라는 문자 옆으로 영문과 숫자로 이루어진 긴 문자열이 있습니다. 이것을 commit hash(커밋 해시) 또는 git hash(깃 해시)라고 합니다. commit hash는 버전을 구별하는 아이디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commit hash 옆으로 (HEAD -> master)은 헤드가..